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분류 전체보기145

<그리스 과학사상사>(G. E. R. 로이드) 《그리스 과학사상사》 G. E. R. 로이드 지음, 이광래 옮김, 지성의 샘, 1996 _ '☞'는 발췌자의 주석임. G. E R. 로이드(Sir Geoffrey Ernest Richard Lloyd, 1933~ ): He is a historian of Ancient Science and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He is the Senior Scholar in Residence at the Needham Research Institute in Cambridge, England. Lloyd was raised in London and Wales. His father, a Welsh physician, specialized in tuberculosis. A.. 2021. 2. 13.
<종교의 철학적 의미>, 마이클 피터슨 외 지음 _서지사항: 『종교의 철학적 의미』, 마이클 피터슨, 윌리엄 해스커, 브루스 라이헨바하, 데이비드 베싱어, 하종호 옮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_ 아래 정리 노트에서 '' 안의 내용은 Nomadia의 주석임. |차례 서론 1| 신에 대한 사색 : 절대자를 찾아서 2| 종교적 경험 : 신과의 만남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3| 신앙과 이성 : 서로 어떤 관계인가? 4| 신의 속성 : 신은 어떠한 모습인가? 5| 유신론의 논변들 : 신의 존재를 입증할 증거가 있는가? 6| 논증 없이 신을 알기 : 유신론은 논거를 필요로 하는가? 7| 악의 문재 : 신의 존재에 대한 반론 8| 신의 역사 : 신은 세계와 어떻게 관계를 맺을까? 9| 기적 : 신은 속세의 일에 개입하는가? 10| 내세 : 소망할 이.. 2021. 2. 11.
연속성에 반대한다-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_7장 *원문서지: Arjen Kleinherenbrink, Against Continuity: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chap. 7 7장 기계와 변화 [Kleinherenbrink 2019, chap.7, 188]연결적 종합(connective synthesis)은 각 관계가 현행적인 것으로 응축되는 한 기계(또는 기계들)와 한 신체(하나의 관점)의 관계, 즉 우발적 표명이다. 이접적 측면은 그와 같은 사물/사태가 그와 같은 사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함축한다. 이것은 이념들을 그것이 할 수 있는 것을 결정하는 한 신체의 특이성이나 힘들로서 함축한다. (...) [189]이접적 종합은 우리에게 .. 2021. 2. 10.
들뢰즈의 베르그송-지속, 잠재성 그리고 미래의 정치학 원문서지: Elizabath Grosz, “Deleuze’s Bergson: Duration, the Virtual and a Politics of the Future”, (eds.) Ian Buchanan & Claire Colebrook, Deleuze and Feminist Theor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0, 214-234 들뢰즈의 베르그송-지속, 잠재성 그리고 미래의 정치학 저자: 엘리자베그 그로스 번역: 박주영(박준영 _수유너머 104, nomadia@naver.com) I. 과거와 미래 변화와 혁신, 미래를 향한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는 페미니즘 정치학에서는 현재 어떤 역설적인 욕망이 있다(그리고 ‘페미니스트’의 의미를 탐색하는 어떠한 정치학도 이것을 최소.. 2021. 2. 8.
<고대사회와 최초의 철학자들>(조지 톰슨 ) 서지사항: 조지 톰슨 지음, 조대호 옮김,『고대사회와 최초의 철학자들』, 고려원, 1992. 세계사에서 원시공산제를 다루는 장은 모든 민족에 공통된 그 발전의 기본 특징들을 보여 주어야 한다. 그 토대인 생산수단의 사회적 소유가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하고 그와 동시에 그것을 사회주의적 소유와 구별짓는 점으로서 이 체계에 내재된 한계들을 설명해 내는 일이 필요하다(11). 석기뿐만 아니라 청동기도 제작되었던 금석병용기chalcolite에 이르러 우리는 나일강 계곡,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인더스 강 유역에서 엄청난 진전들을 목격하게 된다. 여기서 우리는 최초로 원시공동체의 해체, 노예제와 계급투쟁의 성장, 국가의 형성을 보게 된다(11-2). 노예제 사회의 성장은 초기의 성숙기와 두 단계로 구별될 수.. 2021. 2. 7.
<쿼드러플 오브젝트>(그레이엄 하만 지음, 주대중 옮김, 현실문화, 2019) _ 이 발췌의 대제목들과 소제목들은 발췌자의 것임. 이 발췌는 발췌문들을 대제목의 주제들에 따라 재구성한 것임. 1. 철학이란 무엇인가 인간 존재의 왜소함 [하만 2019, 4장, 117]우리 인간이 우리 자신에게 얼마나 흥미롭든 간에 분명한 것은 우리가 우주적 드라마의 주연이 될 리 없고, 고만고만한 태양 근처의 평균 크기 행성 위에 내버려져 있으며, 우주의 역사에서 아주 작은 자리만을 차지할 뿐이라는 것이다. 이 모든 명백한 사실이 우월한 엄밀함이라는 이름 아래, 칸트의 코페르니쿠스적 철학과 그 계승자에 의해 희생된다. 철학의 평등주의 [하만 2019, 3장, 90]우리는 항상 다음과 같은 리트머스 시험을 준수해야 한다. 즉, 철학이 모든 관계를 똑같이 관계로 다루지 않는다면 어떤 철학도 세계를 공정.. 2021.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