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분류 전체보기145

연속성에 반대한다-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_6장 *원문서지: Arjen Kleinherenbrink, Against Continuity: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chap. 6 6장 기계의 안쪽 [Kleinherenbrink 2019, chap. 6, 148]만약 형상(the Figure)이 기계가 존재하는 바 그것이고, 현행적 표현들이 기계들이 활동하는 바 그것이라면, 욕망은 그것들이 가지는 바 그것이다. 욕망은 잠재적 두 겹의 두 번째 부분이기 때문에, 그것은 인과들의 측면에 놓인다. 욕망은 관계적 표현들 뒤에 있는 동력이다. 욕망은 현행성의 ‘표현 내용’의 뒤에서 작동하는 잠재적인 ‘숨은 내용’(latent content)인 것이다(LS 26.. 2021. 2. 5.
<고대 그리스 철학>(프리도 릭켄 지음, 김성진 옮김, 서광사, 2000) 《고대 그리스 철학》 프리도 릭켄 지음/ 김성진 옮김/ 서광사, 2000 차례 옮긴이 서문 서문 한국어판에 부치는 서문 약어표 제1장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I. 철학과 신화 1. 그리스 철학의 역사적 시원에 관한 문제 2. 헤시오도스 II.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의 전래 과정 III. 밀레토스 학파 1. 탈레스 2. 아낙시만드로스 3. 아낙시메네스 IV. 크세노파네스 V. 피타고라스 VI. 헤라클레이토스 VII. 엘레아학파 1. 파르메니데스 2. 제논 VIII. 파르메니데스 이후 그리고 소크라테스 이전에 등장한 철학의 체계들 1. 엠페도클레스 2. 아낙사고라스 3. 원자론자들 제2장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I. 소피스트 II. 소크라테스 제3장 플라톤 생애와 저작 I. 대화형식 II. 이데아 1. 소크라테스.. 2021. 2. 3.
<개념무기들-들뢰즈 실천철학의 행동학>(조정환, 갈무리, 2020) 조정환 지음, 『개념무기들-들뢰즈 실천철학의 행동학』, 갈무리, 2020 [40] [47]자본주의의 내재성에는 세 가지 측면이 존재한다. 첫째 측면은 노동과 생산의 탈코드화된 흐름들 사이의 미분적 관계에 기초하여 인간의 잉여가치를 추출해 내면서 중심에서 주변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둘째 측면은 과학적, 기술적 코드의 흐름들의 공리계에 기초하여 기계의 잉여가치를 추출해 내는 것이다. 그리고 셋째 측면은 이 두 가지 잉여가치의 유출을 보증하고 생산 장치 속에 반-생산을 항구적으로 투입함으로서 흐름의 잉여가치의 이 두 가지 형태를 흡수하고 실현하는 것이다. 첫 번째 측면은 노동자가 지불받은 가치(즉 임금)와 노동자가 생산하는 가치 차이의 차이, 즉 미분적 관계이다. 잉여가치는 양자 사이의 차이에서 추출된다. 두.. 2021. 2. 3.
연속성에 반대한다-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_5장 *원문서지: Arjen Kleinherenbrink, Against Continuity: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chap. 5 5장 기계들 간의 관계 [Kleinherenbrink 2019, chap. 5, 115]신체[물체]는 하나의 관점이다. 각각의 기계는 그 자신의 능력들에 따라 관계들을 가질 수 있을 뿐이다. 기계의 관계들은 그러므로 그 첫 번째 기계가 할 수 있는 것에 따라, 그것의 관계들이 강제됨에도 불구하고, 다른 기계들의 수축[응축, contraction]을 현행화한다. 각각의 개별체는 ‘응축 기계’이다(DR 73). 각각의 관계는 근본적으로 하나의 응축이다(LS 225). 다른 기계.. 2021. 2. 3.
<코뮨주의>(이진경, 그린비, 2010) 이진경, 『코뮨주의』, 그린비, 2010 서문: 다시 도래할 실패를 기다리며 1. (5)코뮨주의commune-ism는 공산주의communism가 아니다. 그러나 그것은 공산주의로부터 나왔다. 그것의 실패로부터. (...)그것은 하나의 공산주의를 수많은 코뮨주의들로 대체할 뿐 아니라, 거꾸로 지금까지 존재해 온, 그리고 지금도 존재하고 있는 수많은 코뮨들을 가시화해 줄 것이다. 우리에게 갈 길은 하나가 아니라 수도 없이 널려 있었던 것이다! (6)실패를 통해 열린 수많은 가능한 형상들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 (7)코뮨주의란 그 끝없는 실패로 인해 영원히 다시 시작할 수 있는 반복의 긍정이다. (...) 그 실패가 되돌아올 때마다 다시 새로이 시작할 수 있는 그 영원한 실험의 장을 기꺼이 긍정하는 것이다... 2021. 2. 3.
연속성에 반대한다-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_4장 *원문서지: Arjen Kleinherenbrink, Against Continuity: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chap. 4 *이 번역은 발췌번역이다. 4장 기계적 신체 [Kleinherenbrink 2019, chap. 4, 87]신체는 기계들 간의 관계에 대해 외재적으로 남아 있다. 모든 것이 기계인 것과 같이, 모든 것은 신체이다. 신체는 어떤 동물, 소리, 정신, 관념, 언어, 어떤 사회, 사람들의 그룹 등등일 수 있다(SPP 127; cf. AO 372). (...) 모든 것은 그 자신의 신체에서 기계이며, 이것이 어떤 ‘기후, 바람, 계절 [그리고] 시간이 사물들, 동물들, 또는 유명한.. 2021.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