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잠재성5

강도 강도(intensity) ‘강도’는 들뢰즈의 철학적 기획에서 핵심 개념이다. 이 개념은 그 자체로 들뢰즈 존재론의 강도적인 잠재성을 표명하는 것이다. 그의 윤리학과 정치학에서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욕망, 그의 미학 이론에서의 감응, 초월론적 경험론을 위해 그의 방법론적 결정을 동기화하는 것, 그리고 차이([미]분화)의 이론을 보증하기 위한 것으로 이 개념이 요구된다. 들뢰즈의 생성의 존재론은 우리가 사물/사태와 그것들의 질들을 배제적으로 생각할 때 우리가 범하는 오류를 탄핵한다. 왜냐하면 연장성과 연장된 양을 특권화함으로써 우리는 연장된 것의 강도적 발생을 간과하기 때문이다(초월적 가상). 들뢰즈의 역능[힘]의 존재론에서, 역능은 힘들 간의 관계를 지칭한다. 역능은 힘들이 부여하는 결과들을 통해서만 경험될.. 2022. 6. 24.
새로운 물질성(마누엘 데란다) *원문서지: Manuel DeLanda, ‘New Materiality’, Architectural Design, September 2015, 85(5) 새로운 물질성 저자: 마누엘 데란다 번역: 박준영(NOMAdia, 수유너머104) 인과성: 감응하기와 감응되기 물질의 본성에 관한 새로운 관점은 옛 개념들에 대한 일련의 변화들에 의해 가능해졌다. 인과 개념과 같이 몇몇은 향상되거나 갱신되었지만, 특이성들을 분배 법칙으로 뒤바꾸는 영원하고 불변하는 법칙에 대한 생각 같이 다른 몇몇은 근원적으로 변형되었다. 인과성, 즉 여타 사건에 의한 어떤 사건의 생산에서 시작해서 이러한 개념적 변화들을 논의해 보도록 하자.[1] 인과성에 관한 옛 개념은 본성적으로 선형적이다. 선형적 인과성의 공식은 “동일한 원인에 따.. 2021. 12. 13.
들뢰즈의 베르그송-지속, 잠재성 그리고 미래의 정치학 원문서지: Elizabath Grosz, “Deleuze’s Bergson: Duration, the Virtual and a Politics of the Future”, (eds.) Ian Buchanan & Claire Colebrook, Deleuze and Feminist Theor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0, 214-234 들뢰즈의 베르그송-지속, 잠재성 그리고 미래의 정치학 저자: 엘리자베그 그로스 번역: 박주영(박준영 _수유너머 104, nomadia@naver.com) I. 과거와 미래 변화와 혁신, 미래를 향한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는 페미니즘 정치학에서는 현재 어떤 역설적인 욕망이 있다(그리고 ‘페미니스트’의 의미를 탐색하는 어떠한 정치학도 이것을 최소.. 2021. 2. 8.
들뢰즈, 수학 그리고 실재론적 존재론 원문서지: Manuel DeLanda, “Deleuze, mathematics, and realist ontology”, (Eds.) Daniel W. Smith & Henry Sommer-Hall, The Cambridge Companion to Deleuz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pp. 220-238. 들뢰즈, 수학 그리고 실재론적 존재론 저자: 마누엘 데란다 번역: 박준영(노마씨, 수유너머104, nomadia@naver.com) 그의 대부분의 당대인들과는 달리 들뢰즈는 실재론적 철학자였다. 하지만 그의 실재론적 태도는 철저하게 혁신적이었고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창안된 이래 2500년 동안 서구 사상을 지배해 온 전통적인 실재론과는 날카롭게.. 2021. 1. 19.
'내재성 / 내재성의 평면(from 들뢰즈 사전들) 흄에 관한 최초의 제대로된 철학적 저서에서부터 들뢰즈는 내재성의 철학에 대한 기미를 보인다. 이를테면 그는 『경험론과 주체성』에서 “철학은 항상 분석의 평면을 찾아왔다”(Gilles Deleuze, Emprisme et subjectivité. Essai sur la nature humaine selon Hume, PUF, 1953, 92)고 말한다. 그것은 경험주의의 운명일 것이다. 다른 한편 ‘평면’이라는 아이디어는 정신분석이 그러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철학적 사유와 존재의 운동을 기하학이나 위상학에 따라 묘사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것임에 틀림없다. 그것은 어떤 ‘표면’의 운동이며, 그것을 들뢰즈는 ‘평면’이라는 다른 용어로 표사한 것이다. 예컨대 『의미의 논리』에서부터 들뢰즈는 ‘순수한 표면’, ‘형.. 2019.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