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무(無)에 기반하기>_퀑탱 메이야수
*원문출처: Quentin Meillassoux, Kağan Kahveci, Sercan Çalcı, Robin Mackay (trans.), “Founded on Nothing”, Urbanomic, 2021, https://www.urbanomic.com/document/founded-on-nothing/ 무(無)에 기반하기 퀑탱 메이야수, 카강 카비치, 세르강 갈치 인터뷰 영역: 로빈 멕케이 카강 카비치: 당신의 저작에서 근본적인 관심 중 하나는 사유의 능력이지요. 당신은 사유가 정확히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묻고, 사유는 절대적인 것(the absolute)을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당신이 방어하는 그 형식은, 이런 주제로 하여금 당신이 ‘사변적 유물론’(speculative materia..
2021. 6. 6.
<파리 코뮌-마르크스, 마오, 내일>_알랭 바디우
※원문출처: Alain Badiou, ‘The Paris Commune: Marx, Mao, Tomorrow’, Monthly Review Vol. 73. no.1, May, 2021. https://monthlyreview.org/2021/05/01/the-paris-commune-marx-mao-tomorrow/ 파리 코뮌-마르크스, 마오, 내일 알랭 바디우 1871년, 칼 마르크스는 국가를 총체적으로 의문시한 파리코뮌에 대한 설명을 내 놓았다. 그에게 파리코뮌은 프롤레타리아트가 전체 사회의 방향 또는 관리에 있어서 그 과도적인 역할을 맡은 첫 번째 역사적 사례가 된다. 코뮌의 주도적 행위들과 난관들로부터 그는 국가 기계가 ‘취해지’거나 ‘점령당하는’ 것이 아니라 파괴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
2021.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