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분류 전체보기145

<무(無)에 기반하기>_퀑탱 메이야수 *원문출처: Quentin Meillassoux, Kağan Kahveci, Sercan Çalcı, Robin Mackay (trans.), “Founded on Nothing”, Urbanomic, 2021, https://www.urbanomic.com/document/founded-on-nothing/ 무(無)에 기반하기 퀑탱 메이야수, 카강 카비치, 세르강 갈치 인터뷰 영역: 로빈 멕케이 카강 카비치: 당신의 저작에서 근본적인 관심 중 하나는 사유의 능력이지요. 당신은 사유가 정확히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묻고, 사유는 절대적인 것(the absolute)을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당신이 방어하는 그 형식은, 이런 주제로 하여금 당신이 ‘사변적 유물론’(speculative materia.. 2021. 6. 6.
<파리 코뮌-마르크스, 마오, 내일>_알랭 바디우 ※원문출처: Alain Badiou, ‘The Paris Commune: Marx, Mao, Tomorrow’, Monthly Review Vol. 73. no.1, May, 2021. https://monthlyreview.org/2021/05/01/the-paris-commune-marx-mao-tomorrow/ 파리 코뮌-마르크스, 마오, 내일 알랭 바디우 1871년, 칼 마르크스는 국가를 총체적으로 의문시한 파리코뮌에 대한 설명을 내 놓았다. 그에게 파리코뮌은 프롤레타리아트가 전체 사회의 방향 또는 관리에 있어서 그 과도적인 역할을 맡은 첫 번째 역사적 사례가 된다. 코뮌의 주도적 행위들과 난관들로부터 그는 국가 기계가 ‘취해지’거나 ‘점령당하는’ 것이 아니라 파괴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 2021. 5. 26.
<디지털 객체의 실존에 대하여>_육후이_1부_1장 *원문서지: Yuk Hui, On the Existence of Digital Object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6 1부 객체들 1장 디지털 객체들의 탄생 디지털 객체들과 그 환경 [47]우리는 현재 디지털 환경 안에서 살고 있다. 우리는 페이스북을 하고, 블로그를 하며 (...) 기술적 혁신의 속도, 가장 최근의 그리고 가장 뛰어난 전자기기들의 편재성(ubiquity), 해방적인 기술 또는 인간 관계의 디지털화에 기반한 미디어, 금융투자에 대한 전도유망한 약속 등등. 이 모든 것들은 결코 현재는 아니지만 오히려 허무적인 아직-아님(not-yet)의 투사(projection)로서의 어떤 봄(seeing)을 구성한다. 이러한 존재양식은 하이데거가 ‘시간적 황홀경’.. 2021. 5. 21.
'갈등적 기본소득'이란 무엇인가? *원문 출처: Federico Chicchi and Emanuele Leonardi, (trans.) Yari Lanci, “Rethinking Basic Income”, Radical Philosophy, 2.09 (Winter 2021), https://www.radicalphilosophy.com/article/rethinking-basic-income 기본소득 다시 생각하기 페데리코 치치(Federico Chicchi)*, 에마누엘레 레오나르디(Emanuele Leonardi)** 이탈리아어 영역: 야리 란치(Yari Lanci) 우리는 역사상 처음으로 지난 몇 년동안, 만약 공정한 분배에 맞춰 작동하고, 합리적으로 설계되었다면 과거보다 눈에 띄게 더 적게 일함으로써 우리의 필요를 더 쉽게 충족시.. 2021. 5. 4.
<희랍사상의 이해>(박종현)_1장_10장 『희랍사상의 이해』 박종현 지음, 종로서적, 1985 목차 제1부 1장 희랍인들의 탐구 정신의 전개 과정 2장 로고스와 희랍 철학 3장 희랍철학을 통해서 본 만듦(창조)의 문제 4장 소크라테스에 있어서의 로고스에 관하여 제2부 5장 플라톤에 있어서의 에로스에 관하여 6장 플라톤에 있어서의 만듦(창조)의 문제 7장 플라톤의 형상 이론의 기본 구조에 관한 고찰 8장 플라톤의 측정술 9장 플라톤의 dialektikē와 측정술 제3부 10장 희랍 비극의 특징과 그 철학적 의의 11장 희랍인들의 평등 의식 12장 희랍 사상의 특징적 고찰 13장 ekstasis와 희랍 사상 [*이 발췌요약문에서 발췌는 ''로 처리함. 나머지는 요약. 소제목은 노마씨가 붙인 것임] 인간에 대한 낙관주의와 탐구정신 pp. 8-10 -.. 2021. 5. 3.
페미니즘, 자기-결정권 그리고 기본 소득 *원문출처: RADICAL PHILOSOPHY 2.09 / Winter 2020-21 https://www.radicalphilosophy.com/article/life-is-mine 삶은 나의 것이다 - 페미니즘, 자기-결정권 그리고 기본 소득 크리스티나 모리니(Cristina Morini)* 영역: 오아나 파르반(Oana Pârvan) 나는 이 주제에 참여하면서, 이탈리아 페미니스트 운동인 ‘논 우나 디 메노’(Non Una di Meno)**를 중심으로 페미니즘적 실천들, 기본 소득 그리고 ‘자기-결정 소득’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 이 글은 자기-결정 소득이 돌봄의 사회를 촉진하고 지난 30년 넘게 신자유주의 헤게모니에 의해 추동되어 왔던 사회적이고 경제적인 변화들에 대응하는데 도움.. 2021.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