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가타리5

신유물론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기: 스피노자-들뢰즈적 행동학 도구(닉 J 폭스) ※원문서지: Nick J. Fox & Pam Alldred, ‘Doing new materialist data analysis: a Spinozo-Deleuzian ethological toolkit’,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Routledge, 2021. 신유물론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기: 스피노자-들뢰즈적 행동학 도구 초록 신유물론과 포스트휴먼 존재론에 대한 점증하는 사회 과학적 관심을 따라 이러한 분야들이 어떻게 사회 조사 방법론으로 실천적으로 번역될 것인지를 탐구하는 것은 시의적절하다. 이 과제는 신유물론의 가르침이 어떤 식으로 조사를 실현해야 하는지에 관한 여러 상이한 해석들로 인해 복잡해진다. 이 논문은 신유물론 안에서 하.. 2021. 11. 11.
들뢰즈의 프루스트-문학의 생태학(안 소바냐르그) 원문서지: Anne Sauvagnargues, “Proust According to Deleuze. An Ecology of Literature,” trans. Jean-Sébastien Laberge, La Deleuzian-Online Journal of Philosophy, n. 7 (2018): 10-27. 들뢰즈의 프루스트-문학의 생태학 안 소바냐르그(Anne Sauvagnargues) 영역: 장-세바스티안 라베르쥬(Jean-Sébastien Laberge) 국역: 박준영(노마씨, nomadia) 초록 이 논문은 본래 Temps Modernes 2013/5 n ° 676, pp.155-177에 프랑스어로 간행되었다. 여기서는 질 들뢰즈의 형식주의(formalism) 채택에 관심을 가진다. 그런데.. 2021. 10. 2.
'포획/정치학/보편사'(from 들뢰즈 사전들) ║포획(capture) A. 포획은 둘 또는 여럿의 이질적인 계열들로 구성된 항들을 수렴하도록 만드는 과정이다. 이질적인 요소들은 이 요소들을 동일화하지는 않으면서 이를 변환시키는 ‘생성의 블록’ 속에서 함께 취해지는데, 배치는 여러 이질적인 요소들 사이에 ‘근방역’(zone de voisinage)을 창조한다. [따라서] 포획은 배치의 작용 방식을 규정한다. 포획은 (생물학적, 사회적, 지성적) 개별자들이 변이하는 관계들 사이로 들어가 변환되는 그 양태들을 규정한다. 이에 대한 주된 예는 들뢰즈가 프루스트(『소돔과 고모라』 초반부)로부터 가져온 것으로, 말벌과 난초를 연결하는 공생(symbiose)[1]이 있으며, 들뢰즈는 이로부터 생명론의(vitaliste) 창조성에 관한 복잡한 이론을 도출한다. 난.. 2019. 7. 5.
'욕망+사회적 생산/탈영토화/자본주의'(from 들뢰즈 사전들) ║욕망(désir, desire) ‘욕망’은 들뢰즈 철학 어휘록의 중심적인 개념 중 하나이다. 가타리와 함께 쓴 그의 저서에서 들뢰즈는 욕망의 정의를 실증적(positive)이고 생산적인(productive) 것으로 발전시킨다. 이때 욕망은 어떤 물질적 흐름으로서 삶/생명이라는 개념을 설명한다. 들뢰즈와 가타리가 욕망이라는 개념을 정의하곤 했던 특성들 각각에서는 ‘결여’에 근거하거나 ‘법’에 의해 규제되는 욕망에 대한 대체 개념이 맞서고 있다. 오이디푸스 법칙에 의해 규제된 욕망에 관한 정신분석적 개념은 어떤 만족할 줄 모르는 결핍으로서, 들뢰즈가 교정하 려고 했던 아주 부정확한 주요 개념들 중 하나였다. ‘결여’와 구성적 관계를 가지면서 억압과 관련되어 외 부적으로 조직화되는 욕망 대신에 들뢰즈는 욕망.. 2019. 7. 4.
'내재성 / 내재성의 평면(from 들뢰즈 사전들) 흄에 관한 최초의 제대로된 철학적 저서에서부터 들뢰즈는 내재성의 철학에 대한 기미를 보인다. 이를테면 그는 『경험론과 주체성』에서 “철학은 항상 분석의 평면을 찾아왔다”(Gilles Deleuze, Emprisme et subjectivité. Essai sur la nature humaine selon Hume, PUF, 1953, 92)고 말한다. 그것은 경험주의의 운명일 것이다. 다른 한편 ‘평면’이라는 아이디어는 정신분석이 그러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철학적 사유와 존재의 운동을 기하학이나 위상학에 따라 묘사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것임에 틀림없다. 그것은 어떤 ‘표면’의 운동이며, 그것을 들뢰즈는 ‘평면’이라는 다른 용어로 표사한 것이다. 예컨대 『의미의 논리』에서부터 들뢰즈는 ‘순수한 표면’, ‘형.. 2019.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