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신유물론42

<쿼드러플 오브젝트>(그레이엄 하만 지음, 주대중 옮김, 현실문화, 2019) _ 이 발췌의 대제목들과 소제목들은 발췌자의 것임. 이 발췌는 발췌문들을 대제목의 주제들에 따라 재구성한 것임. 1. 철학이란 무엇인가 인간 존재의 왜소함 [하만 2019, 4장, 117]우리 인간이 우리 자신에게 얼마나 흥미롭든 간에 분명한 것은 우리가 우주적 드라마의 주연이 될 리 없고, 고만고만한 태양 근처의 평균 크기 행성 위에 내버려져 있으며, 우주의 역사에서 아주 작은 자리만을 차지할 뿐이라는 것이다. 이 모든 명백한 사실이 우월한 엄밀함이라는 이름 아래, 칸트의 코페르니쿠스적 철학과 그 계승자에 의해 희생된다. 철학의 평등주의 [하만 2019, 3장, 90]우리는 항상 다음과 같은 리트머스 시험을 준수해야 한다. 즉, 철학이 모든 관계를 똑같이 관계로 다루지 않는다면 어떤 철학도 세계를 공정.. 2021. 2. 5.
연속성에 반대한다-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_6장 *원문서지: Arjen Kleinherenbrink, Against Continuity: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chap. 6 6장 기계의 안쪽 [Kleinherenbrink 2019, chap. 6, 148]만약 형상(the Figure)이 기계가 존재하는 바 그것이고, 현행적 표현들이 기계들이 활동하는 바 그것이라면, 욕망은 그것들이 가지는 바 그것이다. 욕망은 잠재적 두 겹의 두 번째 부분이기 때문에, 그것은 인과들의 측면에 놓인다. 욕망은 관계적 표현들 뒤에 있는 동력이다. 욕망은 현행성의 ‘표현 내용’의 뒤에서 작동하는 잠재적인 ‘숨은 내용’(latent content)인 것이다(LS 26.. 2021. 2. 5.
연속성에 반대한다-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_5장 *원문서지: Arjen Kleinherenbrink, Against Continuity: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chap. 5 5장 기계들 간의 관계 [Kleinherenbrink 2019, chap. 5, 115]신체[물체]는 하나의 관점이다. 각각의 기계는 그 자신의 능력들에 따라 관계들을 가질 수 있을 뿐이다. 기계의 관계들은 그러므로 그 첫 번째 기계가 할 수 있는 것에 따라, 그것의 관계들이 강제됨에도 불구하고, 다른 기계들의 수축[응축, contraction]을 현행화한다. 각각의 개별체는 ‘응축 기계’이다(DR 73). 각각의 관계는 근본적으로 하나의 응축이다(LS 225). 다른 기계.. 2021. 2. 3.
연속성에 반대한다-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_4장 *원문서지: Arjen Kleinherenbrink, Against Continuity: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chap. 4 *이 번역은 발췌번역이다. 4장 기계적 신체 [Kleinherenbrink 2019, chap. 4, 87]신체는 기계들 간의 관계에 대해 외재적으로 남아 있다. 모든 것이 기계인 것과 같이, 모든 것은 신체이다. 신체는 어떤 동물, 소리, 정신, 관념, 언어, 어떤 사회, 사람들의 그룹 등등일 수 있다(SPP 127; cf. AO 372). (...) 모든 것은 그 자신의 신체에서 기계이며, 이것이 어떤 ‘기후, 바람, 계절 [그리고] 시간이 사물들, 동물들, 또는 유명한.. 2021. 1. 31.
연속성에 반대한다-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_3장 *원문서지: Arjen Kleinherenbrink, Against Continuity: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 이 글은 발췌번역입니다. 3장 내재론[internalism, 내면주의] 비판 [Kleinherenbrink 2019, chap. 3, 68]실존적으로, 그 외재성에서의 산과 그 관계에서의 산 사이에 반복되는 차이는 어떤 꽃의 두 면들[외재성과 관계] 사이의 차이와 같지 않다. 그리고 산이 다른 유형의 관계로 들어갈 때부터, 산 자체에 있어서조차 그것은 동일한 반복되는 차이가 아니다! [Kleinherenbrink 2019, chap. 3, 70]기능주의와 기계론은 기능하기 위해 몇몇 지.. 2021. 1. 28.
연속성에 반대한다-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_2장 *원문서지: Arjen Kleinherenbrink, Against Continuity: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chap. 2 *이 번역은 발췌번역이다. 2장 연속성 테제 [Kleinherenbrink 2019, chap. 2, 51]관계들이 항들에 외재적이라는 깨달음은 들뢰즈에게 ‘철학의 천둥벼락’이다(SC 141 282). (...) 만약 관계가 항들에 외재적이라면, 개별체들은 따라서 어떤 개개의, 내적인 실재성을 가져야 한다. 즉 하나의 개별체는 그 안에 개별체들을 가지며, 거기 존재하는 그 개별체들은 결코 완전히 접촉하지 않는다. (...) 외재성이란 따라서 어떤 것의 조우, 이전(remov.. 2021.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