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신유물론42

연속성에 반대한다-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_1장 *원문서지: Arjen Kleinherenbrink, Against Continuity: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이 번역은 발췌번역이다. 연속성에 반대한다-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저자: 아르젠 클레인헤렌브링크 번역: 박준영(노마씨, 수유너머104, nomadia@naver.com) 1장 들뢰즈와 존재론 [Kleinherenbrink 2019, chap. 1, 22] 여기서 우리는 [이러한 주장-들뢰즈의 철학이 ‘개념도구’에 불과하다는 주장을] 간단하게 거부할 수 있다. 어떤 철학은그 자신의 개념들에서 필수적인 가치를 체계적 연구에 부여한다. 어떠한 철학에 창조적인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언.. 2021. 1. 24.
연속성에 반대한다-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_서문과 서론 *원문서지: Arjen Kleinherenbrink, Against Continuity: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이 번역은 발췌번역이다. 연속성에 반대한다-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저자: 아르젠 클레인헤렌브링크 번역: 박준영(노마씨, 수유너머104, nomadia@naver.com) 서문 [Kleinherenbrink 2019, 서문, x-xi]그[들뢰즈]의 중요한 성찰은 개별체들이 결코 단순한 부분, 재현, 결과, 순간 또는 어떤 다른 것의 기호가 아니라는 것이다. 어떤 개별체도 결코 다른 본질, 주체, 세계, 구조, 운동, 기술(description), 지각, 내용, 맥락, 미래, 과거 또는 .. 2021. 1. 23.
사변적 실재론의 ‘검은 수정’ 그레이엄 하먼 지음, 주대중 옮김, 『쿼드러플 오브젝트』, 현실문화, 2019* 1. 칸트의 전복, 후설-하이데거의 재전유. 2006년 퀭텡 메이야수(Qentin Meillassoux)가 『유한성 이후』(Après la finitude)를 출간한 이래 철학은 ‘상관주의’(corrélationisme)라는 구속복을 제 손으로 걸쳐 입는 기묘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더 나은 해방감을 위해 현재 사유에 부러 금욕을 강요하는 야릇한 마조히즘이랄까? 어쨌든 상관주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관주의는 단순한 만큼 강력한 한 가지 논변에 의존하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이 정식화될 수 있다. X의 소여 없이는 어떠한 X도 없고, X의 가정 없이는 X에 관한 어떤 이론도 없다. 당신이 무언가에 대해 말한다면,.. 2020. 3. 5.
『디지털 대상의 실존에 대하여』(On the Existence of Digital Objects): 스티글러 서문, 저자 서문 『디지털 대상의 실존에 대하여』(Yuk Hui, 2016)1) 서문 -베르나르 스티글러 다니엘 로스 옮김 육 후이의 이 책은 여러 방면에서 특출한 저작이다. 무엇보다 저자의 사유를 구체화하기 위해 그가 다루는 원자료들과 그 질문들의 넓은 시각 덕분에 그러한데 그는 이를 영혼과 정신에 있어서 보기드문 엄격함과 매우 가치있는 개방성으로 해내고 있다. 정신의 개방성(정신의 자유로움, Ouverture d'esprit)은 이 경우 문자 그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육 후이는 이러한 개방성, 즉 정신적 삶으로서의 그러한 개방성을 실행하는데, 규모의 관계성(relations of scale)과 크기정도(orders of magnitude)2)라는 방법을 통해 철저하게 진행한다. 그는 인문사회과학과 더불어 분석철학과.. 2019. 7. 23.
강도의 정치학: 시몽동과 들뢰즈에 있어서 가속의 몇몇 양상들(A Politics of Intensity: Some Aspects of Acceleration in Simondon and Deleuze) 강도의 정치학: 시몽동과 들뢰즈에 있어서 가속의 몇몇 양상들 육 후이(Yuk Hui, 로이파나 대학Leuphana Universität Lüneburg)] 루이 모렐(Louis Morelle, 파리1 대학Université Paris 1) ◎ 논문 초록 ◎ 이 논문은 시몽동과 들뢰즈의 사유에서 속도와 강도의 문제를 명료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가속주의(accelerationism)와 그것의 정치학과 연관된 최근의 논쟁들을 조명하기 위함이다. 성급하게 시작하는 대신, 우리는 강도의 문제를 들여다 보고, 그것이 시몽동과 들뢰즈의 철학과 정치학 안에서 새로운 존재론적 기초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필 것을 제안한다. 시몽동은 강도 개념을 질료형상론(hylomorphism)과 실체주의(substanti.. 2019. 7. 11.
『#가속하다#-가속주의자 독본』: 서문(로빈 맥케이, 아르멘 아바네시안) ※이 번역문은 해당 문헌의 ‘편역’이며, 초벌 번역임을 밝혀 둔다. 문헌 서지사항은 다음과 같다. Robin Mackay, Armen Avanessian (ed.), #Accelerate#-the Accelerationist Reader, URBANOMIC MEDIA LTD, 2014 1858 기계류의 죽은 팔다리를 강요하는 과학은, 그러한 것들의 구축을 통해, 하나의 자동장치로서 목적의식적인 행동을 하는 바, 노동자의 의식 안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소외된 힘으로서 기계를 통해 그에게 행위가 부과되는 것이다. - 칼 맑스 1970 분리된 성, 인종 그리고 경제적 계급들의 융합이 성, 인종 또는 계급 혁명 각각의 전제조건인 것처럼, 기술 문명과 감각의 융합은 문화 혁명의 전제조건이다. - 슐라미스 파이.. 2019.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