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신유물론42

감응(affect) 감응적 전회(#Affective_Turn)* 인간 없이 감응될 수 있는가? 용어집의 취지 안에서 이 질문을 제기하기 위해, 두 개의 키워드, 즉 감응(affect)과 포스트휴먼(posthuman)을 곧이 곧대로 취해보자. 이 단어쌍에는 어던 역설이 숨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인정하건데 감응이 철학, 문화론 또는 정신분석 중 어디에 쓰이든지, 심지어 어떤 하나의 학문 분과 구성체 안에서도, 그 의미에 있어서 일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는 이 개념과 가능한 유사 기제들 – 감정, 느낌, 기분, 정서 등등 – 을 구분하는 일군의 이론가들을 그렇게 하지 않는 이론가들과 구별할 수 있다. 시앤 응가이(Sianne Ngai)의 『추한 느낌』(Ugly Feelings)은 2000년대 초의 감응적 전회(affecti.. 2021. 7. 5.
<무(無)에 기반하기>_퀑탱 메이야수 *원문출처: Quentin Meillassoux, Kağan Kahveci, Sercan Çalcı, Robin Mackay (trans.), “Founded on Nothing”, Urbanomic, 2021, https://www.urbanomic.com/document/founded-on-nothing/ 무(無)에 기반하기 퀑탱 메이야수, 카강 카비치, 세르강 갈치 인터뷰 영역: 로빈 멕케이 카강 카비치: 당신의 저작에서 근본적인 관심 중 하나는 사유의 능력이지요. 당신은 사유가 정확히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묻고, 사유는 절대적인 것(the absolute)을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당신이 방어하는 그 형식은, 이런 주제로 하여금 당신이 ‘사변적 유물론’(speculative materia.. 2021. 6. 6.
<디지털 객체의 실존에 대하여>_육후이_1부_1장 *원문서지: Yuk Hui, On the Existence of Digital Object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6 1부 객체들 1장 디지털 객체들의 탄생 디지털 객체들과 그 환경 [47]우리는 현재 디지털 환경 안에서 살고 있다. 우리는 페이스북을 하고, 블로그를 하며 (...) 기술적 혁신의 속도, 가장 최근의 그리고 가장 뛰어난 전자기기들의 편재성(ubiquity), 해방적인 기술 또는 인간 관계의 디지털화에 기반한 미디어, 금융투자에 대한 전도유망한 약속 등등. 이 모든 것들은 결코 현재는 아니지만 오히려 허무적인 아직-아님(not-yet)의 투사(projection)로서의 어떤 봄(seeing)을 구성한다. 이러한 존재양식은 하이데거가 ‘시간적 황홀경’.. 2021. 5. 21.
코로나 바이러스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이 글은 에도 실려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 신유물론적 관점 코로나 바이러스가 최초로 출현했을 때를 상기해 보자. 많은 사람들이 공포에 떨면서 종말론적 이미지들을 한 번씩 떠올리지 않았나? 지금은 어떤가? 사람들은 적어도 더 이상 이 세균의 존재 자체를 두려워하지는 않는 것 같다. 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나 없는 보편적인 악마와 같이, 또는 아렌트(Hannah Arendt)적인 ‘악의 평범성’과 같이 말이다. 그래서 세균이 담론 안에서 가지는 공포의 교환가치는, 간간히 찾아오는 부정맥처럼 넓고 고르게 퍼진 불안으로 꽤나 평가절하된 상태지 않을까 싶다. 왜냐하면 새로운 것은 최초 출현시점에서 늘 일종의 컨벤션 효과 같은 것을 누리면서 가치앙등을 겪지만, 그것이 다른 배치물들과 더불어 .. 2021. 3. 25.
<차이와 주어짐-들뢰즈의 초월론적 경험론과 내재적 존재론>(레비 브라이언트)_8장 *원문 서지: - Bryant, Levi R. ‘Individuation: The Genesis of Extensities and the Other-Structure’, Difference and givenness : Deleuze's transcendental empiricism and the ontology of immanence, Evanston, Illinois;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chap. 8, 220-262. 8장 개체화: 연장과 타자-구조의 발생 현행화의 과정에 따라오는 세 가지 문제들 세 가지 문제들이 남는다. 첫째 잠재적인 것에서 현행적인 것으로의 운동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개별체들(entities)이 현행화 또는 개체화되는 것은 어떤 방식으로인가? .. 2021. 3. 4.
연속성에 반대한다-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_7장 *원문서지: Arjen Kleinherenbrink, Against Continuity: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chap. 7 7장 기계와 변화 [Kleinherenbrink 2019, chap.7, 188]연결적 종합(connective synthesis)은 각 관계가 현행적인 것으로 응축되는 한 기계(또는 기계들)와 한 신체(하나의 관점)의 관계, 즉 우발적 표명이다. 이접적 측면은 그와 같은 사물/사태가 그와 같은 사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함축한다. 이것은 이념들을 그것이 할 수 있는 것을 결정하는 한 신체의 특이성이나 힘들로서 함축한다. (...) [189]이접적 종합은 우리에게 .. 2021.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