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계속 변하는 현대철학 용어사전28

'푸코+주름+다이아그램'(from 들뢰즈 사전들) 미셸 푸코와 들뢰즈는 어떤 강도 높은 철학적 우정을 즐겼으며, 푸코에 관한 들뢰즈 글의 대다수는 ‘상찬 에세이’(laudatory essay)의 전통에 속하는 것이었다. 이런 식의 논평은 전후 프랑스에서 지적 활동의 특정 경향으로 자리잡은 것이기도 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류의 글은 비판적인 작업은 아니었고, 그 보다는 정서적인 감응의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푸코에 대한 그의 저작에 대해 말할 때, 들뢰즈는 어떤 사상가에 대한 커다란 충실성을 증명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한다. 그리고 그의 저작에서 모순이나 사각지대를 굳이 찾을 필요도 없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 그렇게 말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타당하지만, 다른 편에서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어떤 작가의 작품을 ‘우정’의 정신 안에서 접근한다는.. 2019. 7. 3.
'잠재적, 잠재성/직관'(from 들뢰즈 사전들) 들뢰즈의 존재론에서, 잠재적인 것과 현행적인 것은 상호적으로 배제적이지만, 함께 충족되는 관계, 즉 실재적인 것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현행적/실재적인 것은 사태(일, affairs), 신체들, 신체적으로 혼합된 것들과 개체들의 상태다. 잠재적/실재적인 것은 공속면(a plane of consistency)에서의 비신체적인 사건들 그리고 특이성들이며, 순수 과거, 다시 말해 결코 충분히 현재가 될 수 없는 과거에 속해 있다. 현행적인 것과 닮거나 그것이 되지 않으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잠재적인 것은 현행화를 야기하는 능력을 가진다. 하지만 잠재적인 것은 결코 그것의 현행화와 동일시되거나 일치하지 않는다. 들뢰즈는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에 기대어, 잠재적인 것(the virtual)이 .. 2019. 7. 3.
'베르그송/지속/기억/다양체'(from 들뢰즈 사전들) 들뢰즈는 프랑스 철학자인 베르그송을 재생시킴으로써 명성을 얻었다. 이로써 베르그송은 들뢰즈 세대의 핵심적인 사상가의 표본이 되었으며 베르그송의 저작들은 시간, 운동, 기억 그리고 지각과 관련된 분야들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게되었다. 라이프니트, 스피노자, 니체, 흄, 아르토, 가타리와 루크레티우스의 사상을 따라, 들뢰즈는 베르그송의 경험주의를 철학의 전통적 입장에 도전하는 것으로 취급했다. 특히 초월론적 요소들, 현상학적 가정들, 그리고 ‘인식’와 ‘진리’에 대한 탐색에 있어서 그러했다. 베르그송에 대한 들뢰즈의 철학적 관심은 그의 전체 저작의 중심에 놓여 있으면서 다양하게 펼쳐진다. 비록 20세기 후반의 철학의 고전에서 배제되긴 했지만, 20세기 초반에 베르그송의 저작은 유명했으며, 프랑스 입체파에서부.. 2019. 7. 3.
'니체/노마드/영원회귀'(from 들뢰즈 사전들) 프리드리히 니체에 관한 들뢰즈의 독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들뢰즈가 지속적으로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흄과 베르그송에 관한 연구들(그리고 이러한 모든 철학자들에 대해 쓰여진 책들과 그것들이 활용되는 것)을 참조한다 해도, 철학적 전통에 대한 그의 접근은 근본적으로 어떤 긍정의 철학이라는 니체적인 목표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것이다. 들뢰즈가 어떤 철학자를 읽을 때, 그는 니체에 비추어 그들의 연구작업의 능력치와 그들이 창조한 개념들, 그들이 던지는 질문의 실증적인 효과를 가늠하며, 또한 그들의 철학이 삶에 어떻게 응답하는가를 음미한다. 들뢰즈는 스피노자에 관한 연구에서 어떤 실천철학의 이념을 정립하기 위해 신중하게 접근하는 동안, 몇몇 스피노자의 이념들에 속한 니체의 사유 양상이 근대적.. 2019. 7. 1.
'흄'(from 들뢰즈 사전들) 데이비드 흄은 스코틀랜드 철학자이자, 역사가, 경제학자이며 종교 이론가이다. 그는 아마도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경험주의자들’에 속하는 철학자들 중 가장 많이 알려져 있을 것이다. 비록 흄을 존 로크(John Locke) 버클리(George Berkeley)와 같은 철학자들과 한 그룹에 넣는 것이 다소 의아할지라도, 20세기 중후반의 철학사는 그들을 일반적으로 함께 다루어왔다. 흄에 관한 장에서, 우리는 전형적인 방식으로 그를 로크와(또는) 버클리의(또는 데카르트와 말블랑슈) 연구작업을 급진화하고 확장한 한 사람의 자연주의자로 그리거나, 또는 그의 철학적 기여가 전반적이고 광범위하게 비판적이라는 의미에서 회의주의자로 취급할 수 있다. 아마도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철학 이론은 감각 인상으로부터 유래하는 불분.. 2019. 7. 1.
'칸트/ 우월한 경험론-선험적 경험론/초월론적 경험론'(from 들뢰즈 사전들) 임마누엘 칸트의 비판 철학은 근대 사상의 전환점이다. 칸트는 ‘비판적’ 탐구를 이성 자체 안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자신의 철학을 그 이전의 ‘독단적’ 철학과 ‘광신주의’로부터 구별지었다. 이 두 가지 합리주의의 과잉들은 그것이 사유할 수 있는 것과 알 수 있는 것을 뒤섞었다. 또한 경험주의는 이와 반대로 체계적 인식의 가능성을 무시했다. 이러한 지적 상황에서 칸트는 이 둘의 중재를 통해 철학에서 일종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이루었다고 스스로를 평가했다. 들뢰즈는 두 가지 점에서 칸트 철학의 자기개념 규정을 거부한다. 첫째로 들뢰즈는 자신이 선별한 철학사적 영향력의 지표에 따라, 그의 철학적 실천은 역사적인 합리주의와 경험주의를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했던 칸트의 주장을 침식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둘째로.. 2019.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