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먼4 객체-지향-철학(object-oriented philosophy)_new version 객체-지향 존재론의 의미, 발전, 구별점 당신 앞에 놓여 있는 이 책의 주제는 객체-지향 존재론(Object-Oriented Ontology)(줄여서 OOO이며 ‘삼중O’라고 발음한다) (...) 이다. 아무도 실제적으로 지식이나 진리를 소유하지 않으며, 따라서 정치학이나 여타의 다른 것들의 퇴락에 대항하여 우리를 방어할 수 없다. OOO가 이해하는 바에 따르면, 사유를 진정 위협하는 진리는 상대주의가 아니라 관념론이고, 그래서 우리를 괴롭히는 것에 대한 치유책은 진리/지식 쌍이 아니라 (...) 실재(reality)이다. 실재는 늘 우리의 다양한 배를 침몰시키는 암초인데, 그것은 보통 인지되거나 숭배되어야 하지만,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기도 하다. (...) 실재는 언제나 우리가 그것에 대해 공식화하는 .. 2022. 6. 24. 물러난 비체?-비인간중심주의적 객체-지향-존재론 원문 서지: Robert Booth, ‘Abject Withdrawal?: On the Prospect of a Nonanthropocentric Object-Oriented-Ontology’, Angelaki, 26:5, 20-37 물러난 비체?-비인간중심주의적 객체-지향-존재론의 전망에 대하여 로버트 부츠(Robert Booth) 발췌 번역: 박준영(노마씨,nomadia) [21]나는 OOO를 뒷받침하는 형이상상적 전제들이 비인간 현상들의 이질성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한, 모튼(Morton)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문제적이라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왜냐하면 OOO가 필연적으로 이항대립적 사고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이다. 이 사유에서 ‘객체들’ - 그것들의 전반적인 존재론을 형성하는 바 – 은 (모튼이.. 2021. 10. 18. 『퀑탱 메이야수-진행 중인 철학』: 서문(그레이엄 하먼) 원문서지: Graham Harman, Quentin Meillassoux: Philosophy in the Making,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1, 1-5 서문 이 책은 퀑탱 메이야수(‘may-yuh-sue’라고 발음한다)의 철학에 대해 다룬 최초의 단행본 분량의 저술이다. 메이야수는 이제 막 등장하여 가장 큰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프랑스 철학자이다. 그는 1967년 파리에서 태어났으며, 아프리카 연구자들[1] 사이에 정평이 나 있는 인류학자인 끌로드 메이야수(Claude Meillassoux, 1925-2005)의 아들이기도 하다. 젊은 메이야수는 울름 가(rue d’Ulm)에 소재한 명문 ‘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 Supérieure)에서 수학했으.. 2021. 9. 18. 사변적 실재론의 ‘검은 수정’ 그레이엄 하먼 지음, 주대중 옮김, 『쿼드러플 오브젝트』, 현실문화, 2019* 1. 칸트의 전복, 후설-하이데거의 재전유. 2006년 퀭텡 메이야수(Qentin Meillassoux)가 『유한성 이후』(Après la finitude)를 출간한 이래 철학은 ‘상관주의’(corrélationisme)라는 구속복을 제 손으로 걸쳐 입는 기묘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더 나은 해방감을 위해 현재 사유에 부러 금욕을 강요하는 야릇한 마조히즘이랄까? 어쨌든 상관주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관주의는 단순한 만큼 강력한 한 가지 논변에 의존하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이 정식화될 수 있다. X의 소여 없이는 어떠한 X도 없고, X의 가정 없이는 X에 관한 어떤 이론도 없다. 당신이 무언가에 대해 말한다면,.. 2020. 3.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