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예술3

Yuk Hui, Art and Cosmotechnic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21, Chap. 2_전문 번역 *주석은 번역되지 않았습니다.*''는 원문 페이지수. '[ ]' 는 역자 보충입니다. '[ ]'  안의 숫자는 주석 숫자.초역입니다.  2장 산과 물 §13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현상학에 관한 노트그와 같은 이름을 가질 자격을 가지기 위해, 위대한 예술 작품은 기술적 숙련 또는 부정성을 통해 차별화를 획득한다. 전자는 연속성이 특징이고 후자는 격절이 특징이다. 거장의 그림은 수십 년에 걸친 수련과 이전 세대로부터 전수받은 지식을 개인적인 해석과 습득한 기술로 수정하여 보여준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기술적 이해는 아마추어가 쉽게 뛰어넘을 수 없다. 다른 한편, 불연속성[격절]은 기술뿐만 아니라 감성의 측면에서도 개념적, 패러다임적 단절을 요구한다. 현대 예술에서, 예술가들은 작품 자체를 ‘취소’(u.. 2024. 8. 29.
Yuk Hui, Art and Cosmotechnic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21, Chap. 1_발췌 번역 *''는 원문 페이지수. 발췌번역문의 소제목은 번역자의 것임. §7. 철학의 종말 이후 예술 예술과 정신[Yuk Hui 2021, 68]예술과 정신의 관계는 결코 예전의 높은 지위를 되찾지 못할 것이다. 예술 작품 앞에서 “우리는 더 이상 무릎을 꿇지 않는다.” (...) 그러나 헤겔을 따라 1831년 베를린에서 그가 죽은 후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관찰해 보면 철학은 그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 것 같다. 오히려 우리는 헤겔의 동료들로부터 철학의 종말에 대해 오래전부터 들어왔다. 특히 1964년 마르틴 하이데거가 「철학의 종말과 사유의 과제」라는 에세이에서 발표했지만, 이 생각은 1930년대 하이데거 사상의 전환기라고 불리는 시기 이후 그의 초기 단계부터 존재해 왔다. 철학의 다음 단계_사이버네틱스[Yu.. 2024. 6. 8.
#Einar_Hákonarson (1945 ~ ) [예술가-말] “사람들은 우리 사회의 권위를 감히 비판하려 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사람들이 그들의 관점들로부터 배제되어 있기 때문이지요. 이것을 깨닫고 있지만, 나는 이러한 관점들 또한 비판합니다.” “개념미술은 훌륭한 예술일 수 있지만, 모든 것이 예술로 간주될 때, 거기에는 어떤 예술도 존재하지 않게 될 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술이라고 부르지만 정의할 수 없는 어떤 것이 우리 사회 안에 있다는 것에 우리는 동의하지요. 그것은 의도적으로 정의되지는 않습니다.” - #Einar_Hákonarson (1945 ~ ), http://www.einarhakonarson.com/en/bio/ 2020.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