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능3 힘과 강도: 『차이와 반복』 4장과 5장 원문출처: Leonard Lawlor, ‘Power and Intensity: Difference and Repetition, Chapters Four and Five’, Deleuze and Guattari Studies 13.3,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445–453 힘과 강도: 『차이와 반복』 4장과 5장 저자: 레오나르드 롤로(Leonard Lawlor) 번역: 노마씨 박주영(본명: 박준영, 수유너머 104, nomadia@naver.com) 이 글의 제목이 암시하는 바는, 이 논문이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에서의 힘(power)과 강도(intensity)를 논한다는 것이다. 푸코 이후 힘이 생산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진부한 것이다. 그렇다 .. 2021. 2. 18. '배치/ 역능'(from 들뢰즈 사전들) ║배치(Agencement; Assemblage) 1960년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가타리는 정치적 전위들과 심리치료 시설에 적용하기 위해 집단적 환상이라는 어떤 개념을 발전시켰다. 하지만 그는 ‘집단’(group)의 사회-심리학적 구축이 너무 실증적이며, 개인 중심적이고, 그것의 이해가 과도하게 언표들에 의존적이며, 역사과 연결되어 투쟁하는 상상력과 욕망에 무지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에 그는 보다 추상적인 ‘배치’(가끔 ‘arrangement’로 번역되기도 함)라는 개념을 내세우고, 집단이라는 개념을 포기했다. 이는 비인간(non-human) 즉 집합적 혼합체에 속하는 기계적 요소를 부가하기 위해, 집단과 개체들 간의 차이를 혼동하는 것을 피하려는 것이었다. 어떤 고도로 기술적인 .. 2019. 7. 4. '니체/노마드/영원회귀'(from 들뢰즈 사전들) 프리드리히 니체에 관한 들뢰즈의 독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들뢰즈가 지속적으로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흄과 베르그송에 관한 연구들(그리고 이러한 모든 철학자들에 대해 쓰여진 책들과 그것들이 활용되는 것)을 참조한다 해도, 철학적 전통에 대한 그의 접근은 근본적으로 어떤 긍정의 철학이라는 니체적인 목표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것이다. 들뢰즈가 어떤 철학자를 읽을 때, 그는 니체에 비추어 그들의 연구작업의 능력치와 그들이 창조한 개념들, 그들이 던지는 질문의 실증적인 효과를 가늠하며, 또한 그들의 철학이 삶에 어떻게 응답하는가를 음미한다. 들뢰즈는 스피노자에 관한 연구에서 어떤 실천철학의 이념을 정립하기 위해 신중하게 접근하는 동안, 몇몇 스피노자의 이념들에 속한 니체의 사유 양상이 근대적.. 2019. 7.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