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오다가다 번역47

<디지털 객체의 실존에 대하여>_육후이_1부_1장 *원문서지: Yuk Hui, On the Existence of Digital Object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6 1부 객체들 1장 디지털 객체들의 탄생 디지털 객체들과 그 환경 [47]우리는 현재 디지털 환경 안에서 살고 있다. 우리는 페이스북을 하고, 블로그를 하며 (...) 기술적 혁신의 속도, 가장 최근의 그리고 가장 뛰어난 전자기기들의 편재성(ubiquity), 해방적인 기술 또는 인간 관계의 디지털화에 기반한 미디어, 금융투자에 대한 전도유망한 약속 등등. 이 모든 것들은 결코 현재는 아니지만 오히려 허무적인 아직-아님(not-yet)의 투사(projection)로서의 어떤 봄(seeing)을 구성한다. 이러한 존재양식은 하이데거가 ‘시간적 황홀경’.. 2021. 5. 21.
'갈등적 기본소득'이란 무엇인가? *원문 출처: Federico Chicchi and Emanuele Leonardi, (trans.) Yari Lanci, “Rethinking Basic Income”, Radical Philosophy, 2.09 (Winter 2021), https://www.radicalphilosophy.com/article/rethinking-basic-income 기본소득 다시 생각하기 페데리코 치치(Federico Chicchi)*, 에마누엘레 레오나르디(Emanuele Leonardi)** 이탈리아어 영역: 야리 란치(Yari Lanci) 우리는 역사상 처음으로 지난 몇 년동안, 만약 공정한 분배에 맞춰 작동하고, 합리적으로 설계되었다면 과거보다 눈에 띄게 더 적게 일함으로써 우리의 필요를 더 쉽게 충족시.. 2021. 5. 4.
페미니즘, 자기-결정권 그리고 기본 소득 *원문출처: RADICAL PHILOSOPHY 2.09 / Winter 2020-21 https://www.radicalphilosophy.com/article/life-is-mine 삶은 나의 것이다 - 페미니즘, 자기-결정권 그리고 기본 소득 크리스티나 모리니(Cristina Morini)* 영역: 오아나 파르반(Oana Pârvan) 나는 이 주제에 참여하면서, 이탈리아 페미니스트 운동인 ‘논 우나 디 메노’(Non Una di Meno)**를 중심으로 페미니즘적 실천들, 기본 소득 그리고 ‘자기-결정 소득’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 이 글은 자기-결정 소득이 돌봄의 사회를 촉진하고 지난 30년 넘게 신자유주의 헤게모니에 의해 추동되어 왔던 사회적이고 경제적인 변화들에 대응하는데 도움.. 2021. 4. 26.
강제노동으로부터 창조노동으로_기본소득에 관한 대담(가이 스탠딩 & 마르티나 타지올리) *원문출처: RADICAL PHILOSOPHY 2.09 / Winter 2020-21 https://www.radicalphilosophy.com/interview/from-forced-labour-to-creative-work 강제노동으로부터 창조노동으로 - 가이 스탠딩(Guy Standing)과 마르티나 타지올리(Martina Tazzioli) 대담 마르티나 타지올리: 당신의 작업에 대해 통상적인 질문에서 시작하고 싶군요. 불안정성(pracarity[불안정 노동])과 하나의 계급으로서의 ‘프레카리아트’(precariat)의 출현에 관한 성찰과 기본소득(basic income)에 대한 당신의 이론작업과 어떻게 연결되는지요? 가이 스탠딩: 그렇지요, 나는 두 주제에 관헤 수 년간 연구해 왔습니다. 내가 .. 2021. 4. 20.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헨리-소머스 홀)_1부_4장_이념들과 차이의 종합 4장 이념들과 차이의 종합 4.1 서문-칸트와 이념들(168-71/214-17) 『차이와 반복』의 4장은 두 가지 상호 얽힌 논증들로 시작한다. 하나는 칸트의 이념론이고 다른 하나는 미적분 이론이다. 지난 장에서, 우리는 들뢰즈가 어떻게 칸트의 철학에 대립하는지를 보았다. 그 이유는 칸트의 철학이 단순히 어떤 보다 높은 수준에서의 공통감의 구조를 반복하는 능력들에 관한 사유를 제공할 뿐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또한 들뢰즈의 감각에 관한 논증에서 만약 문제들이 단순히 해들을 중복하는 것으로 드러난다면(가능성 개념의 부가에도 불구하고), 그때 그 문제들은 경험의 발생에 관한 생각을 제공할 수 없고, 단지 기껏해야 어떻게 그것이 초월적 수준에서 작동하는 능력들에 의해 조건지어지는지를 보여줄 수 있을 뿐이라는 것.. 2021. 4. 16.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헨리-소머스 홀)_1부_2장_반복 그 자체 *원문서지: Henry Somers-Hall,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3, 55-95 2장 반복 그 자체 2.1 서문 2장은 우리가 이미 마주했던 두 개의 주제를 개괄한다. 서문에서 우리는 비합동적 등가물에 대한 논증이 어떤 방식으로 어떠한 개념적 동일성으로부터 벗어나는 차이의 가능성을 드러내는지를 보았다. 2장은 반복의 현상을 탐색하는데, 여기서 우리는 절대적으로 동일하지만(만약 그것들이 동일하지 않다면, 거기에는 그 어떤 반복도 존재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차이나는 요소들을 가진다(만약 그것들이 구별될 수 없다면, 우리는 또한 어떤 반복도 가지지 않는다. 우리는 오직 하나의 사건만을.. 2021.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