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OOo2

객체-지향-철학(object-oriented philosophy)_new version 객체-지향 존재론의 의미, 발전, 구별점 당신 앞에 놓여 있는 이 책의 주제는 객체-지향 존재론(Object-Oriented Ontology)(줄여서 OOO이며 ‘삼중O’라고 발음한다) (...) 이다. 아무도 실제적으로 지식이나 진리를 소유하지 않으며, 따라서 정치학이나 여타의 다른 것들의 퇴락에 대항하여 우리를 방어할 수 없다. OOO가 이해하는 바에 따르면, 사유를 진정 위협하는 진리는 상대주의가 아니라 관념론이고, 그래서 우리를 괴롭히는 것에 대한 치유책은 진리/지식 쌍이 아니라 (...) 실재(reality)이다. 실재는 늘 우리의 다양한 배를 침몰시키는 암초인데, 그것은 보통 인지되거나 숭배되어야 하지만,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기도 하다. (...) 실재는 언제나 우리가 그것에 대해 공식화하는 .. 2022. 6. 24.
물러난 비체?-비인간중심주의적 객체-지향-존재론 원문 서지: Robert Booth, ‘Abject Withdrawal?: On the Prospect of a Nonanthropocentric Object-Oriented-Ontology’, Angelaki, 26:5, 20-37 물러난 비체?-비인간중심주의적 객체-지향-존재론의 전망에 대하여 로버트 부츠(Robert Booth) 발췌 번역: 박준영(노마씨,nomadia) [21]나는 OOO를 뒷받침하는 형이상상적 전제들이 비인간 현상들의 이질성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한, 모튼(Morton)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문제적이라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왜냐하면 OOO가 필연적으로 이항대립적 사고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이다. 이 사유에서 ‘객체들’ - 그것들의 전반적인 존재론을 형성하는 바 – 은 (모튼이.. 2021. 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