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칸트4

<시간의 노이즈>(존 페체)_발췌번역 *원문서지: John Paetsch, ‘The Noise of Time’, Deleuze and Guattari Studies, 15.3,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21: 343–362 시간의 노이즈 존 페체(John Paetsch) 번역: 박준영(노마씨) 시간에 의해 균열된 ‘나’-만약 들뢰즈가 칸트 체계 안에 있는 표면적으로 숨겨진 이 요소로 반복적으로 되돌아 간다면, 이는 단순히 ‘차이’(여기서는 어떤 선험적인 강조와 더불어)의 주제를 새롭게 하는 것으로 들리진 않는다. 그것이 아니라, 들뢰즈는, 칸트가 『유고』(Opus Postumum)에서 했던 것과 같은 이유로 이 ‘내적 드라마’로 돌아 간다. 즉 그것은 ‘내부’(자아)로부터 ‘외부’(자연)로의 가장 직접적인 경로를.. 2021. 10. 3.
약한 상관주의, 강한 상관주의 ※원문서지: Michael Austin, “CORRELATIONISM: WEAK AND STRONG”, (Eds.) Peter Gratton and Paul J. Ennis, The Meillassoux Dictionary,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5, 48-50 약한 상관주의와 강한 상관주의 마이클 오스틴 상관주의는 존재가 오로지 주체에 대해서만 존재한다는, 즉 주체적 정신과 객체적인 세계 간에 어떤 직접적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또는 아마도 보다 정확하게 말해, 사유하는 존재는 인식의 방식 외에 다른 방식으로는 세계에 접근할 수 없으며, 따라서 사물-자체를 사유하거나 논한다는 주장은 상상적인 기묘함이나 순수한 부조리 중 하나에 속한다는 암묵적인 .. 2021. 9. 17.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헨리-소머스 홀)_1부_서문:반복과 차이 *원문서지: Henry Somers-Hall,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3, pp. 7-20.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저자: 헨리 소머스-홀(Henry Somers-Hall)번역: 박주영(본명: 박준영, 수유너머104, nomadia@nave.com) 1. 텍스트 따라가기서문: 반복과 차이0.1 서론들뢰즈는 『차이와 반복』을 “반복은 일반성이 아니다”(DR 1/1)라는 주장으로 시작한다. 일반성의 통약불가능성(incommensurability), 그리고 법칙과 관련된 개념은 서문의 핵심 주제이며, 책 자체의 주요 주제이기도 하다. 우리는 보통 법칙을 서로 간에 닮은 특수한 개별체들 모두에.. 2021. 3. 8.
'칸트/ 우월한 경험론-선험적 경험론/초월론적 경험론'(from 들뢰즈 사전들) 임마누엘 칸트의 비판 철학은 근대 사상의 전환점이다. 칸트는 ‘비판적’ 탐구를 이성 자체 안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자신의 철학을 그 이전의 ‘독단적’ 철학과 ‘광신주의’로부터 구별지었다. 이 두 가지 합리주의의 과잉들은 그것이 사유할 수 있는 것과 알 수 있는 것을 뒤섞었다. 또한 경험주의는 이와 반대로 체계적 인식의 가능성을 무시했다. 이러한 지적 상황에서 칸트는 이 둘의 중재를 통해 철학에서 일종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이루었다고 스스로를 평가했다. 들뢰즈는 두 가지 점에서 칸트 철학의 자기개념 규정을 거부한다. 첫째로 들뢰즈는 자신이 선별한 철학사적 영향력의 지표에 따라, 그의 철학적 실천은 역사적인 합리주의와 경험주의를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했던 칸트의 주장을 침식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둘째로.. 2019.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