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철학사4

해석과 사건_리쾨르와 들뢰즈 철학 비교 연구_서론 [1회차 원고] * 아래에 현재까지 포스팅된 이 원고의 다른 부분들을 볼 수 있도록 링크를 만들어 놓았다. 2회차 원고: 해석과 사건_리쾨르와 들뢰즈 철학 비교 연구_A. 예비적 고찰_part 1 서언: 이제부터 몇 번에 걸쳐 포스팅할 이 긴 원고는 마땅히 애도의 대상이 되어야 했다. 어떤 연유로 이 글은 영원히 사장될 처지에 놓였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나는 그것을 '부인'하면서 지금껏 다소 히스테릭한 상태로 정신의 일부를 방치해 온 것이 분명하다. 이제 '애도'도 '부인'도 그 어떤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었으니 마음 편하게 부려 놓기로 한다. 서론 1. 논문의 가설과 구성 2. 왜 사건의 철학이며 해석의 철학인가? 3. 기초질문들의 존재론적 의의 A. 예비적 고찰 I. ‘해석’과 ‘사건’의 통시적.. 2022. 6. 23.
<그리스 사유의 기원>(장 피에르 베르낭) *발췌문의 소제목은 발췌자가 작성함. 장 피에르 베르낭 지음 / 김재홍 옮김 / 도서출판 길 / 2006 차례 옮긴이의 말 일러두기 서론 제1장 역사적 배경 제2장 뮈케네의 왕권 제3장 군주권의 위기 제4장 폴리스의 영적 우주 제5장 도시의 위기: 초기의 현인들 제6장 인간 세계(코스모스)의 구조 제7장 우주 발생론과 군주권의 신화 제8장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像) 결론 더 읽어야 할 책 찾아보기 서론 뮈케네 왕국의 붕괴와 헬라스 세계의 대변화-왕의 죽음. [19]우리가 정확하게 이해하고 자리매김해보고자 하는 것은 바로 헬라스 역사에서의 이 같은 단절[호메로스 이전과 이후]의 문제인 것이다. 고전기 헬라스의 종교와 신화는, 특히 닐슨이 지적했다시피 명백하게 뮈케네의 과거 역사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2021. 3. 9.
<고대사회와 최초의 철학자들>(조지 톰슨 ) 서지사항: 조지 톰슨 지음, 조대호 옮김,『고대사회와 최초의 철학자들』, 고려원, 1992. 세계사에서 원시공산제를 다루는 장은 모든 민족에 공통된 그 발전의 기본 특징들을 보여 주어야 한다. 그 토대인 생산수단의 사회적 소유가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하고 그와 동시에 그것을 사회주의적 소유와 구별짓는 점으로서 이 체계에 내재된 한계들을 설명해 내는 일이 필요하다(11). 석기뿐만 아니라 청동기도 제작되었던 금석병용기chalcolite에 이르러 우리는 나일강 계곡,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인더스 강 유역에서 엄청난 진전들을 목격하게 된다. 여기서 우리는 최초로 원시공동체의 해체, 노예제와 계급투쟁의 성장, 국가의 형성을 보게 된다(11-2). 노예제 사회의 성장은 초기의 성숙기와 두 단계로 구별될 수.. 2021. 2. 7.
<고대 그리스 철학>(프리도 릭켄 지음, 김성진 옮김, 서광사, 2000) 《고대 그리스 철학》 프리도 릭켄 지음/ 김성진 옮김/ 서광사, 2000 차례 옮긴이 서문 서문 한국어판에 부치는 서문 약어표 제1장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I. 철학과 신화 1. 그리스 철학의 역사적 시원에 관한 문제 2. 헤시오도스 II.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의 전래 과정 III. 밀레토스 학파 1. 탈레스 2. 아낙시만드로스 3. 아낙시메네스 IV. 크세노파네스 V. 피타고라스 VI. 헤라클레이토스 VII. 엘레아학파 1. 파르메니데스 2. 제논 VIII. 파르메니데스 이후 그리고 소크라테스 이전에 등장한 철학의 체계들 1. 엠페도클레스 2. 아낙사고라스 3. 원자론자들 제2장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I. 소피스트 II. 소크라테스 제3장 플라톤 생애와 저작 I. 대화형식 II. 이데아 1. 소크라테스.. 202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