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2 해석과 사건_리쾨르와 들뢰즈 철학 비교 연구_A. 예비적 고찰_part 1 [2회차 원고] *서언과 목차와 초록은 1회차 원고에서 볼 수 있다. *아래에 현재까지 포스팅된 이 원고의 다른 부분들을 볼 수 있도록 링크를 만들어 놓았다. 1회차 원고: 해석과 사건_리쾨르와 들뢰즈 철학 비교 연구_서론 A. 예비적 고찰 I. ‘해석’과 ‘사건’의 통시적 맥락[6] 1. 카오스, 뮈토스, 로고스[7]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을 특징짓는 말은 ‘자연철학’(philosophie naturelle)이다. 여기서 자연(natur)이란 ‘생성’(gensis, génération)이라는 공통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도 자연은 ‘신성하다.’ [8]그래서 자연철학의 ‘생성’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근대적이고 과학적인 ‘표상’[9]으로 상정되기보다, 어떤 비시간적인 특성과 더불어, 원.. 2022. 6. 27. 해석과 사건_리쾨르와 들뢰즈 철학 비교 연구_서론 [1회차 원고] * 아래에 현재까지 포스팅된 이 원고의 다른 부분들을 볼 수 있도록 링크를 만들어 놓았다. 2회차 원고: 해석과 사건_리쾨르와 들뢰즈 철학 비교 연구_A. 예비적 고찰_part 1 서언: 이제부터 몇 번에 걸쳐 포스팅할 이 긴 원고는 마땅히 애도의 대상이 되어야 했다. 어떤 연유로 이 글은 영원히 사장될 처지에 놓였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나는 그것을 '부인'하면서 지금껏 다소 히스테릭한 상태로 정신의 일부를 방치해 온 것이 분명하다. 이제 '애도'도 '부인'도 그 어떤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었으니 마음 편하게 부려 놓기로 한다. 서론 1. 논문의 가설과 구성 2. 왜 사건의 철학이며 해석의 철학인가? 3. 기초질문들의 존재론적 의의 A. 예비적 고찰 I. ‘해석’과 ‘사건’의 통시적.. 2022. 6.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