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욕망2

'욕망+사회적 생산/탈영토화/자본주의'(from 들뢰즈 사전들) ║욕망(désir, desire) ‘욕망’은 들뢰즈 철학 어휘록의 중심적인 개념 중 하나이다. 가타리와 함께 쓴 그의 저서에서 들뢰즈는 욕망의 정의를 실증적(positive)이고 생산적인(productive) 것으로 발전시킨다. 이때 욕망은 어떤 물질적 흐름으로서 삶/생명이라는 개념을 설명한다. 들뢰즈와 가타리가 욕망이라는 개념을 정의하곤 했던 특성들 각각에서는 ‘결여’에 근거하거나 ‘법’에 의해 규제되는 욕망에 대한 대체 개념이 맞서고 있다. 오이디푸스 법칙에 의해 규제된 욕망에 관한 정신분석적 개념은 어떤 만족할 줄 모르는 결핍으로서, 들뢰즈가 교정하 려고 했던 아주 부정확한 주요 개념들 중 하나였다. ‘결여’와 구성적 관계를 가지면서 억압과 관련되어 외 부적으로 조직화되는 욕망 대신에 들뢰즈는 욕망.. 2019. 7. 4.
'스피노자'(from 들뢰즈 사전들) 지난 수 십 년 동안 루이 알튀세르(Louis Arthusser), 에티엔 발리바르(Etienne Balibar), 피에르 마슈레(Pierre Macherey), 들뢰즈와 여러 사람들은 끊임없이 바류흐 스피노자의 사유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켜 왔다. 이러한 연구들에서 스피노자의 유물론적 존재론은 어떤 하나의 틀거리처럼 사용되어 왔다. 이때 스피노자의 존재론은, 플라톤적 형이상학적 공리들, 데카르트의 인식론 그리고 칸트와 헤겔의 초월적 합리주의에 의해 포획되지 않기 위해 활용되었다. 또한 이러한 사상가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것은 스피노자를 칼 맑스의 보다 중요한 범주들과 원리들 몇몇을 재개념화하기 위한 원천으로 활용했다는 점이다. 이런 방식의 스피노자의 부활과 더불어 스피노자에 대한 보다 기술적인(techni.. 2019.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