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스주의4 <미지의 마르크스를 향하여>(엔리케 두셀)_저자서문 원문서지: Enrique Dussel, (trans.) Fred Moseley, Towards an Unknown Marx-A Commentary on the Manuscripts of 1861-63, (New York: Routledge), 2001, pp. xxxii-x1. 저자 서문 1932년 『1844 경제학-철학 수고』(‘Economic and Philosophical Manuscripts of 1844’)의 출간과 더불어 – 그리고 허버트 마르쿠제(Herbert Marcuse)의 유명한 견해들과 함께 – 맑스의 사유에 관한 어떤 개역(revision), 다시 말해 극단적인 경제주의와 소비에트 맑스주의의 소박한 유물론에 대한 반작용이 시작되었다. 1939년에, 『그룬트리세』(Grundrisse).. 2021. 2. 13. <고대사회와 최초의 철학자들>(조지 톰슨 ) 서지사항: 조지 톰슨 지음, 조대호 옮김,『고대사회와 최초의 철학자들』, 고려원, 1992. 세계사에서 원시공산제를 다루는 장은 모든 민족에 공통된 그 발전의 기본 특징들을 보여 주어야 한다. 그 토대인 생산수단의 사회적 소유가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하고 그와 동시에 그것을 사회주의적 소유와 구별짓는 점으로서 이 체계에 내재된 한계들을 설명해 내는 일이 필요하다(11). 석기뿐만 아니라 청동기도 제작되었던 금석병용기chalcolite에 이르러 우리는 나일강 계곡,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인더스 강 유역에서 엄청난 진전들을 목격하게 된다. 여기서 우리는 최초로 원시공동체의 해체, 노예제와 계급투쟁의 성장, 국가의 형성을 보게 된다(11-2). 노예제 사회의 성장은 초기의 성숙기와 두 단계로 구별될 수.. 2021. 2. 7. <코뮨주의>(이진경, 그린비, 2010) 이진경, 『코뮨주의』, 그린비, 2010 서문: 다시 도래할 실패를 기다리며 1. (5)코뮨주의commune-ism는 공산주의communism가 아니다. 그러나 그것은 공산주의로부터 나왔다. 그것의 실패로부터. (...)그것은 하나의 공산주의를 수많은 코뮨주의들로 대체할 뿐 아니라, 거꾸로 지금까지 존재해 온, 그리고 지금도 존재하고 있는 수많은 코뮨들을 가시화해 줄 것이다. 우리에게 갈 길은 하나가 아니라 수도 없이 널려 있었던 것이다! (6)실패를 통해 열린 수많은 가능한 형상들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 (7)코뮨주의란 그 끝없는 실패로 인해 영원히 다시 시작할 수 있는 반복의 긍정이다. (...) 그 실패가 되돌아올 때마다 다시 새로이 시작할 수 있는 그 영원한 실험의 장을 기꺼이 긍정하는 것이다... 2021. 2. 3. '가속/가속주의' 가속(Acceleration) 데이비드 로자스(David Rojas) 현재 우리는 가속하고 있다. 때문에 과학자들은 인류세라는 새로운 시기가 마찬가지로 위대한 가속(the Great Acceleration)의 시대라고 주장하는 것이다(Steffen et al. 2004; Waters et al. 2016). 20세기 중반 이래, 그들은 인간이 주도한 생태적 파괴가 지구행성의 지리적 기록에 어떤 분명한 흔적을 남겨 왔다고 주장한다. 즉 산업적인 생산기반들이, 지구의 빈곤한 지역들을 포함하여, 행성을 가로질러 극적으로 확장되어 왔다는 것이다(McNeill and Engelke 2016). 인류세를 가속으로 규정하는 것은 예전의 관념들과도 이어져 있다. 상승하는 변화속도로서의 대량 생산 산업화가 그것이다. 예.. 2020. 2.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