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아감벤2

코로나 바이러스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이 글은 에도 실려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 신유물론적 관점 코로나 바이러스가 최초로 출현했을 때를 상기해 보자. 많은 사람들이 공포에 떨면서 종말론적 이미지들을 한 번씩 떠올리지 않았나? 지금은 어떤가? 사람들은 적어도 더 이상 이 세균의 존재 자체를 두려워하지는 않는 것 같다. 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나 없는 보편적인 악마와 같이, 또는 아렌트(Hannah Arendt)적인 ‘악의 평범성’과 같이 말이다. 그래서 세균이 담론 안에서 가지는 공포의 교환가치는, 간간히 찾아오는 부정맥처럼 넓고 고르게 퍼진 불안으로 꽤나 평가절하된 상태지 않을까 싶다. 왜냐하면 새로운 것은 최초 출현시점에서 늘 일종의 컨벤션 효과 같은 것을 누리면서 가치앙등을 겪지만, 그것이 다른 배치물들과 더불어 .. 2021. 3. 25.
#Giorgio_Agamben(1942 ~ ) #코로나_바이러스와_예외상태[1] 지오르지오 아감벤(#Giorgio_Agamben) 코로나 바이러스라고 판단되는 전염병에 대처하기 위한 광적이고, 비합리적이며 전적으로 부당한 긴급조치에 직면해서, 우리는 CNR(국가연구위원회)의 주장들에서 출발해야 한다. 이들에 따르면 “이탈리아에서 급성호흡기증후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 뿐 아니라, “현재 가용한 전염병 데이터에 따르면, 수 많은 사례들 가운데, 경미한 증상(일종의 감기)이 80-90%를 차지한다. 10-15%의 경우, 폐렴으로 발전할 수 있지만, 대부분 호전된다. 단지 4% 정도만이 중환자로 분류되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전한다. 만약 이것이 실재 상황이라면, 어째서 언론과 당국은 전 지역에 걸쳐 실재 비상상태를.. 2020. 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