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 philosopher in NOMADIA

비인간2

신유물론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기: 스피노자-들뢰즈적 행동학 도구(닉 J 폭스) ※원문서지: Nick J. Fox & Pam Alldred, ‘Doing new materialist data analysis: a Spinozo-Deleuzian ethological toolkit’,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Routledge, 2021. 신유물론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기: 스피노자-들뢰즈적 행동학 도구 초록 신유물론과 포스트휴먼 존재론에 대한 점증하는 사회 과학적 관심을 따라 이러한 분야들이 어떻게 사회 조사 방법론으로 실천적으로 번역될 것인지를 탐구하는 것은 시의적절하다. 이 과제는 신유물론의 가르침이 어떤 식으로 조사를 실현해야 하는지에 관한 여러 상이한 해석들로 인해 복잡해진다. 이 논문은 신유물론 안에서 하.. 2021. 11. 11.
인공지능(AI) 인공지능(#AI; #Artificial_Intelligence) 1955년에 미국 컴퓨터 과학자이자 인지 과학자인 존 맥카시(John McCarthy)는 신념체계(beliefs systems)를 장착한 지능 행위소들로 구성된 기계류를 기술하기 위해 인공지능이라는 말을 고안했다. 관리감독 없이 기능을 수행하고 과제를 성취하도록 프로그램된 자동기계들의 확산과 더불어, 온도조절장치에서부터 당신의 컴퓨터에 업데이트되는 소프트웨어에 이르기까지, 이 풍부한 연구 영역은 인적 투자 이상으로 기계 사고에서 기술-사회적 지능에 관한 문화적 상상물을 표현했다. 알고리즘적으로 조절되는 지식과 소통의 과정으로서 이 상상물은 어떤 근본적인 변화를 겪었으며 주요한 존재론적 질문, 즉 사고하는 존재란 무엇인가에 관한 어떤 본보기가.. 2021.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