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니츠3 들뢰즈 스파티움론의 라이프니츠적 계보(플로리안 베르마이렌) *원문서지: Florian Vermeiren, ‘The Leibnizian Lineage of Deleuze's Theory of the Spatium’, Deleuze and Guattari Studies 15.3 (2021), Edinburgh University Press, 321-342 들뢰즈 스파티움론의 라이프니츠적 계보 저자: 플로리안 베르마이렌(Florian Vermeiren) 발췌번역: 박준영(NOMAdia, 수유너머 104) 초록 이 논문은 들뢰즈의 스파티움(spatium)론에 있어서 라이프니츠의 영향을 탐구한다. 데카르트의 연장성(extension)과 뉴턴 공간에 관한 라이프니츠의 비판은 그를 내적 규정과 내적 차이에 관한 공간 개념으로 이끈다. 따라서 공간은 실체들(substances.. 2021. 11. 28.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헨리-소머스 홀)_1부_서문:반복과 차이 *원문서지: Henry Somers-Hall,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3, pp. 7-20.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저자: 헨리 소머스-홀(Henry Somers-Hall)번역: 박주영(본명: 박준영, 수유너머104, nomadia@nave.com) 1. 텍스트 따라가기서문: 반복과 차이0.1 서론들뢰즈는 『차이와 반복』을 “반복은 일반성이 아니다”(DR 1/1)라는 주장으로 시작한다. 일반성의 통약불가능성(incommensurability), 그리고 법칙과 관련된 개념은 서문의 핵심 주제이며, 책 자체의 주요 주제이기도 하다. 우리는 보통 법칙을 서로 간에 닮은 특수한 개별체들 모두에.. 2021. 3. 8. '배치/ 역능'(from 들뢰즈 사전들) ║배치(Agencement; Assemblage) 1960년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가타리는 정치적 전위들과 심리치료 시설에 적용하기 위해 집단적 환상이라는 어떤 개념을 발전시켰다. 하지만 그는 ‘집단’(group)의 사회-심리학적 구축이 너무 실증적이며, 개인 중심적이고, 그것의 이해가 과도하게 언표들에 의존적이며, 역사과 연결되어 투쟁하는 상상력과 욕망에 무지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에 그는 보다 추상적인 ‘배치’(가끔 ‘arrangement’로 번역되기도 함)라는 개념을 내세우고, 집단이라는 개념을 포기했다. 이는 비인간(non-human) 즉 집합적 혼합체에 속하는 기계적 요소를 부가하기 위해, 집단과 개체들 간의 차이를 혼동하는 것을 피하려는 것이었다. 어떤 고도로 기술적인 .. 2019. 7. 4. 이전 1 다음